라벨이 발암물질인 게시물 표시

2011년 가습기 살균제 피해 사건 정리

이미지
가습기 살균제 피해 논란은 2011년 대한민국에서 처음 제기된, 가습기 살균제로 인해 발생한 건강 피해와 관련된 사건입니다. 이는 역사상 가장 심각한 환경 및 건강 피해 사례 중 하나로 간주되며, 다수의 사망자와 건강 피해자를 남겼습니다. 이 사건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배경  가습기 살균제는 가습기의 물에 첨가해 세균과 곰팡이를 억제하기 위해 사용된 화학 제품입니다.  주요 성분으로는 PHMG(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 , PGH(염화에톡시에틸구아니딘)  등이 포함되어 있었으며, 이 성분들이 인체에 유독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제조사와 유통사는 제품의 유해성을 제대로 검증하지 않았으며 , 안전성을 충분히 설명하지 않고 시장에 판매했습니다.  피해  가습기 살균제를 사용한 가정에서 다수의 사용자가 호흡기 질환, 폐섬유화, 천식, 알레르기 반응 등의 건강 문제를 경험했습니다. -  2011년 정부 조사에서 가습기 살균제와 건강 피해 간의 인과관계가 확인되었으며, 많은 피해자가 사망하거나 평생 건강 문제 를 안게 되었습니다. 피해자 중에는 특히 임산부, 어린이, 노약자 가 많았습니다.  사건 전개 문제 제기 (2011년) : 피해 사례가 언론과 전문가들에 의해 공개되면서 논란이 시작되었습니다.  정부 조사 및 규제 : 가습기 살균제의 사용이 금지되었고, 제조사 및 유통사에 대한 조사가 진행되었습니다. 환경부와 보건복지부가 피해자 지원 대책을 마련하기 시작했습니다.  법적 대응 : 주요 제조사인 옥시레킷벤키저(Oxy Reckitt Benckiser), SK케미칼, 애경산업 등이 소송의 대상이 되었습니다. 옥시 등 주요 회사들은 소비자에게 제대로 된 정보를 제공하지 않은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습니다.  결과 법적 책임 : 일부 회사와 관계자들이 법적 처벌을 받았으며, 피해자 보상 기금이 설립되었습니다. 피해...

아스파탐 발암물질 분류 논란의 의미는?

이미지
 최근 유엔세계보건기구(WHO) 산하 연구기관인 국제암연구소(IARC)에서 아스파탐을 발암 물질로 지정한다는 소식에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아스파탐으 제로콜라 외에도 우리나라에서는 소주, 막걸리 등에 많이 쓰여 우려의 시각이 높습니다. 다음으로 아스파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일부 다이어트 콜라에 쓰이는 아스파탐 아프스탐이란? 아스파탐은 당도가 설탕의 200배 가까이 되는 인공 합성 감미료로 당알코올과는 달리 칼로리가 전혀 없는 것이 특징입니다. 아스파탐은 감미료들 중에서 일반 설탕에 가깝기 때문에, 많은 종류의 저열량 식품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펩시의 제로슈거에 쓰이고 있어, 젊은 세대에게도 소비가 많은 감미료입니다.  발암물질의 분류 내역 국제 암 연구소는 현재까지 암을 일으키는 요인 1108종에 대해 발암성을 검토해 왔습니다. 그리고 대상이 된 물질을 1~4군으로 분류하였습니다. 1군은, 햄과 소시지, 탄 고기가 해당되는데 암을 일으키는 물질을 의미합니다. 2군 A는 암을 일으킬 개연성이 있는 물질, 2군 B는 암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는 물질입니다. 그리고 3군은 암을 일으키는 게 분류되지 않은 물질, 4군은 암을 일으키기 않는 물질을 의미합니다. 2군A의 경우, 붉은색 살코기, 기름 튀긴 요리 등이 분류되어있습니다. 2군 B의 경우, 휘발유, 캐러멜색소, 니켈, 휴대폰 전자기장 등 322종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분류에 아스파탐이 속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특이한 점은 김치, 커피, 코코넛 오일 등이 같은 부류에 속해있다는 것입니다. 아스파탐 사용 식품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음료와 주류에 아스파탐이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펩시 제로슈거에 쓰이고 있습니다. 주류에서는 서울장수막걸리와 국순당 생막걸리, 지평막걸리에  들어가고 있습니다. 한국인의 섭취량 발암물질이라도 노출 빈도와 양에 따라 그 위험성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미세먼지와 햇빛 또한 발암물질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햇빛의 경우 인체에...

발암물질에 대하여 잘못 알고있는 3가지

이미지
세계보건기구의 산하 IARC가, 최근 아스파탐을 발암물질 2B 군으로 지정할 예정이라는 소식이 있습니다. 소시지와 햄 등 가공육을 발암물질(carcinogen) 1군으로 지정한 지 오래 되었습니다.  과연 그런 군(그룹)들은 무엇이며 해당 물질이 어떤 것들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발암 물질의 그룹(군)과 해당 물질들 발암 물질은  말 그대로 암을 일으키는 물질입니다. 세계보건기구(HWO)는 산하기관인 국제암연구소(IARC)를 통해 발암물질을 지정합니다. 발암물질은 크게 3가지 그룹으로 나누어집니다.  1군 발암물질 사람에게 확실히 암을 일으킨다는 증거가 있는 물질입니다. 여기엔 우리가 짐작하고 아는 대부부의 발암물질이 포함됩니다. 현재 118가지가 지정되어있습니다. 담배와 술, 방사선 라돈과 석면가루, 벤젠등이 있습니다. 흥미로운 것은 위장 속에 사는 세균인 헬리코박터와 간염바이러스, 햇빛과 공기오염(미세먼지), 특이하게 소금에 절인 생선 등도 포함된다는 것입니다. 경구피임약, 폐경기 때 처방되는 에스트로겐 호르몬도 1군 발암 물질입니다. 소시지와 햄 등 가공육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1군에서 강조해야 될 것은 술입니다. 술은 암과 크게 관련이 있다고 알고는 있지만 사실 가장 간과되는 발암 물질입니다. 그리고 담배입니다. 이 두 가지는 우리 주변에 가장 보편적으로 광범위하게 존재하면서 강력하게 암을 일으키는 물질입니다. 2군 A 발암물질 흔히 발암 추정 물질(probable carcinogen)로 불립니다. 동물에선 증거가 충분하지만 사람에겐 증거가 부족한 경우입니다. 75가지가 있는데 우리가 눈 여겨 볼 것은 교대근무와 고온에서 기름으로 튀기는 후라이 요리입니다. 또한 소고기와 돼지고기 등 붉은색 살코기가 추가되었습니다. 발암물질에 교대근무와 같은 생활 패턴이 포함되는 것은 상당히 이례적입니다. 실제 교대근무는 호르몬 균형의 파괴로 유방암 등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건강을 위해 교대근무는 가능한 줄이고 꼭 해야 한...